일단 통계의 기초는 이번까지해서 마무리하고
이후부터는 통계의 종류? 그리고 정~~~말 간단히논문 통계를 읽는 법을 공부해보려고 한다

PART. 1 통계의 용어 정리
4. 연구의 종류
9) 역학연구 개념
# 역학적 연관성: 인간집단의 건강과 관련된 여러 현상이 어떤 요인과 관련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과정
# 역학 연구 설계 방법: 기술역학, 분석역학, 실험역학, 이론역학
# 발생률/유병률/치명률이라는 개념부터 잡고가볼까유
① 발생률: 일정기간 동안 한 인구 집단에 새로 발생한 환자 수 <- 발병률과 혼용해서 사용됨
② 발병률: 한정기간 내 질병 요인에 접촉/폭로된 사람들만의 감수성 인구 중 새로 발병한 환자 수
③ 유병률: 일정 시점 또는 기간 동안의 인구 중 존재하는 환자의 비율
- 발생률과 유병률과의 관계: 이환기간이 비교적 일정하면 유병률은 발생률에 비례, 만성질환은 이환기간(아픈 기간)이 길어서 급성질환보다 유병률이 높음
④ 치명률: 질환에 대한 치사율, 질환으로 인해 사망한 환자의 비율
10) 기술역학
# 인간 집단을 대상으로 질병의 발생, 분포, 발생 경향 등에 대해 사람/시간/장소의 세가지 측면에서 기술하는 1단계적 역학
① 인적 변수: 연령, 성, 종족, 직업, 경제 수준, 종교 등
② 시간적 변수
A. 추세 변화(장기 변화): 질병이 수십년 주기로 발생하는 경우, 10년 단위로 질병의 발생과 사망률 추정
B. 순환 변화(주기 변화): 일정한 기간을 두고 질병이 반복하여 발생하는 경우(집단 면역 저하될 때 질병 발생)
C. 계절적 변화: 질병이 1년을 주기로 많이 발생하는 달이나 계절이 있는 경우
D. 불시 유행(일일 변화, 돌연 유행): 질병이 국한된 지역에서 일시에 많은 사람에게 돌발적으로 발생하는 현상 ex. 메르스
③ 지역적 변수
A. 유행성(epidemic): 한국가에 전반적으로 질병이 발생
B. 범유행성(pandemic): 범세계적으로 발생
C. 지방성(endemic): 일부 지역에 특수하게 발생
D. 산발성(sporadic); 일부 지역에서 산발적으로 발생
11) 분석역학
# 질병 발생 시 원인을 규명하는 것
# 기술 역학적 연구를 통해 설정된 구체적인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실시
특징 | 장점 | 단점 | |
환자-대조군 연구 (case-control study) |
- 환자군, 대조군이 각 원인요인에 노출된 여부를 확인해서 관련성을 규명(원인으로 추정되는 요인 – 질병의 관련성 검증) - Ex. 흡연이 폐암의 원인이다! 환자군과 대조군의 흡연력을 비교 - 교차비(OR)로 요인과 질병의 관계 검증 |
- 단기간 수행 가능, 비용/시간/노력 절감 - 여러가설 동시에 검증 가능 - 희귀질환이나 잠복기 긴 질환에 적합 |
- 적합한 대조군 선정이 어려움 - 모집단이 없는 경우가 많아 전체 인구에 적용이 어려움 - 기억에 의존하므로 편견이 작용 |
폭로군-비폭로군 연구 (cohort study) |
- 특성이 같은 집단 선정, 시간 간격을 두고 변동을 파악 - 전향적 코호트: 질병 없는 집단을 대상으로 이들이 위험요인에 노출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폭로군과 비폭로군 구분해서 향후 질병의 발생률을 비교 - 후향적 코호트: 연구 시작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 요인노출과 질병발생과의 관련성 추적(기존에 있는 기록을 통해서) - 상대위험비(RR)로 요인과 질병간의 연관성 검증 |
- 정확히 측정 가능, 편견 적고 신뢰성 있는 자료 - 질병의 자연사 파악 가능 - 인과관계 구체적 확인 가능 |
- 시간/노력/비용 부담 - 관찰기간 길고 대상자가 많아 발생률이 높은 질환에만 유용 - 장기간 조사라 중도탈락 많음 - 장기간 조사라 연구자 변동으로 차질 생길 수 있음 |
단면연구 | - 특정 시점이나 기간 내에 일정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질병별 발생률과 연구하려는 속성의 유무를 동시에 조사하고, 이들 간의 상관관계 조사 | - 모집단에서 대표성 지닌 표본 -> 연구결과의 모집단 적용 가능 - 시점 조사라서 시간/경비 절약 - 대상 질환의 유병률 구할 수 있음 |
- 원인과 결과 중 어떤 것이 선행되는지 확정 어려움 |
# 예시
Ø Ex. 현재는 건강한데 흡연 OX여부에 따라 일정시간 경과 후 폐암 발생률 비교 -> 전향적 코호트 연구
Ø Ex. 현재 폐암에 걸린 사람과 걸리지 않은 사람들의 과거 흡연력 비교(질병 유무) -> 환자-대조군 연구
Ø Ex. 현재 폐암에 걸린 사람 중 과거 건강검진 기록을 통해 폐암 발생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며 관련성 추적(노출여부) -> 후향적 코호트 연구
Ø Ex. 현재 흡연력과 폐암유무에 대한 정보 수집 -> 단면적 연구
12) 실험 역학
# 연구자가 조작하여 실험하는 경우
# Ex. 동물실험, 임상시험
# 관찰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간접증거라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므로 실험적/인위적 상환을 통해 원인과 결과를 확인할 필요가 있음
# 장점
Ø 원인 요인을 직접 조절해서 연구하므로 원인 규명에 보다 확정적
Ø 시간적 속발성(원인이 먼저인지)에 대한 판단 용이
# 단점
Ø 윤리적 측면에서 수행 불가능한 부분이 많음
Ø 연구의 표본 크기가 대표성을 지닐 만큼 커야 하는데, 표본 클수록 제대로 원하는 것만 통제하며 연구하기 어려워 한정적인 결과
13) 이론 역학
# 여러가지 역학적 현상을 일반화된 가정에 근거를 두고 설정된 수학 모형에 적용해서 얼마나 잘 들어맞느냐를 검정
'다람이는 공부중 > #3 기타(영어 등등..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의학/보건통계 - 6(통계 분석 방법 심화) (0) | 2023.03.08 |
---|---|
의학/보건통계 - 5(통계 분석 방법 분류 기초) (0) | 2023.03.02 |
의학/보건통계 - 3(가설과 비) (0) | 2023.02.24 |
의학/보건통계 - 2(값과 표본) (0) | 2023.02.20 |
의학/보건통계 - 1(변수) (0) | 2023.02.16 |
의학/보건통계 - 0(목차) (0) | 2023.02.13 |